손 묵 광 Son Muk-Gwang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 [한국풍경 / 韓國 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 [한국풍경 / 韓國風景]한지, Archival Pigment Print, 100x60cm, 2015 |
-韓國風景에 부쳐-
예술장르로서의 사진이 정착된 후 풍경사진은 인물사진과 더불어 가장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중요한 예술적 모티브였다. 그러므로 자연풍경은 관조, 계절에 따른 심상의 변화, 원근의 기억 등 매우 다채롭게 변주되어 왔다. 자연은 사진가의 영감의 원천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풍경사진’은 낡은 장르로 인식되었고, 아마추어 사진가들의 사진동호회에서나 전시되는 대상으로 전락되고 말았다. 그러나 20세기 최고의 시인 릴케마저도 ‘그대는 자연풍경’이란 시에서 “형제처럼 늘어선 자작나무들이 / 두 손으로 하루를 향해 매일 아침을 / 떠밀어 올리는 숲” 이라고 경이롭고 경건하게 노래했다.
자연풍경은 결코 포스트모던 시대의 사시적(斜視的) 대상이 아니다. 내가 그리고자 한 것은 일상성 속에서 만나는 - 너무나 익숙하여 예사롭게 스쳐 지나는 - 대상을 새로운 눈으로 담아보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다. 풍경의 재현이 아닌, 진경산수(眞景山水)를 바탕으로 한국 산천의 내밀한 변화, 그에 따라 호흡이 달라지는 나의 내면을 담으려 했다.
이번 작품을 준비하면서 때론 힘들기도 했지만 기쁨을 느낄 때가 더 많았다. 세상 모든 것은 진부하지만 작가의 포충망을 지나는 순간, 낯익은 대상은 전혀 새롭게 변화된다. 하지만 나의 생각과 동일한 시각에서 읽혀지지 않으리란 것은 안다. 다만 그런 시도만큼은 존중받고 싶다. 나의 자연, 나만의 풍경사진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리라. 그 작업은 아직 진행형이다.
손 묵 광
손 묵 광 Son Muk-Gwang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과졸업
경성대학교 대학원 보도사진전공졸업
개 인 전
2015.5 山頂省察展-창원창동갤러리
2015.4 自然無爲電-인천평생학습관갤러리다솜
2015.3 彼岸-강릉아트스페이스에뚜알
2014.9 桂林을 貪하다-파티마 갤러리
2013.10 山愛山愛-서울알파문구갤러리
2013.8 山山山전-창원파티마갤러리
2013.7 경남국제아트페어-창원세코전시장
2013.5 1980년대부터2000년대까지 손묵광사진의 흐름전-창동포토갤러리
2012.8 요산요수(樂山樂水)-서울KSD문화갤러리초대전
2012.6경남국제아트페어-창원세코전시장
2012.5 DAF 국제아트페어-김제아리랑문학관갤러리
2012.5 빛으로 그린 水墨-서울에이원갤러리
2011.3 주남철새들의 여정 飛-창원주나미아트스페이스
2011.2 공간과 사유(레지던시)-마산구복예술촌
2010.6 빛으로 새를 꿈꾸다.-창원갤러리티케
2010.4 空-경남사천다솔사
2009.5 山展水展-울산영상아트갤러리
2009.10 詩가 있는풍경-진해경남문학관
2009.8 風景 그리움으로 남는다.-마산구복예술촌
2008.3 창포만-마산3.15아트센터
2004.10 남도풍경-마산가고파문화센터갤러리
1993.10 어제그리고 내일-대구보루네오갤러리
1989.10 한국의 미-부산현대칼라갤러리
단체기획전
2015.4 아시아사진가기획전-일본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
2014.8 포토그라피인 부산-부산영도문화예술관전시장
2013.3 3인 3색전-마산르네상스포토갤러리
2013.5 아시아포토포럼국제사진전-마산르네상스포토갤러리
2013.10 환경연합국제사진초대전-부산용두산갤러리
2012.10 이것이 사진이다-창원리안갤러리
2012.8 후쿠오카포토페스티벌-일본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
2012.6 국제포토그라피 인 부산-부산을숙도문화관전시장
2012.5 6인6색전-마산창동예술촌갤러리
2011.1 레지던스프로그램‘사유와 공간’-마산구복예술촌갤러리
2011.10 부산사진의 재발견-부산고은갤러리
2011.9 2011대한민국선정작가전-서울시립미술관
2011.4 이심전심전-부산화인갤러리
2009.10 경남현대사진60년전-경남도립미술관
2008.10 경남현대사진페스티발-마산3.15아트센터 외150여회
수 상
DAF국제아트페어우수작가상,10.27법난미술전우수상,개천예술제최우수상,
동아국제살롱,한국국제살롱,단원미술제,부산미전등
국내외공모전100여회입상
레지던스
2011-12경남문화재단 입주작가 및 기획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